티스토리 뷰

생활 코딩/JAVASCRIPT

객체

준승박 2021. 8. 16. 17:26

객체

1. 객체(Object)
- 객체의 생성
var grades = {'egoing': 10, 'k8805': 6, 'sorialgi': 80};
: egoing은 key가 되고, 10은 value가 된다

- 다른 객체 생성 방법
var grades = {};
grades['egoing'] = 10;
grades['k8805'] = 6;
grades['sorialgi'] = 80;

- 다른 객체 생성 방법
var grades = new Object();
grades['egoing'] = 10;
grades['k8805'] = 6;
grades['sorialgi'] = 80;

- 객체 출력
var grades = {'egoing': 10, 'k8805': 6, 'sorialgi': 80};
alert(grades['sorialgi']); // 80 출력
alert(grades.sorialgi); // 80 출력


2. 객체와 반복문의 조우

var grades = {'egoing': 10, 'k8805': 6, 'sorialgi': 80};

for(key in grades) {       
    document.write("key : "+key+" value : "+grades[key]+"
"); } - 실행 결과 key : egoing value : 10 key : k8805 value : 6 key : sorialgi value : 80
for 문은 in 뒤에 따라오는 배열의 key 값을 in 앞의 변수 name에 담아서 반복문을 실행한다.
반복문이 실행될 때 변수 key의 값으로 egoing, k8805, sorialgi가 순차적으로 할당되기 때문에 grades[key]를 통해서 객체의 값을 알아낼 수 있다.
객체에는 객체를 담을수도 있고, 함수도 담을 수 있다

3. 객체지향 프로그래밍

var grades = {

    'list': {'egoing': 10, 'k8805': 6, 'sorialgi': 80}     
};

alert(grades['list']['egoing']); // 10 출력
var grades = { 'list': {'egoing': 10, 'k8805': 6, 'sorialgi': 80}, 'show' : function(){ alert('Hello world'); }; alert(grades['show']()); // Hello world 출력
: 객체 안에는 함수도 포함 시킬 수 있다. this 키워드 : 약속된 키워드(이미 정의된)
객체를 가리키는 변수, 함수가 소속 되어 있는 객체를 가리킨다.


var grades = {  
    'list': {'egoing': 10, 'k8805': 6, 'sorialgi': 80},   
    'show' : function(){       
        for(var name in this.list){   
            document.write(name+':'+this.list[name]+"
"); } } }; grades.show(); //grades.['show'](); 이렇게 표현도 가능 하다. - 실행 결과 egoing:10 k8805:6 sorialgi:80
grades는 list과 show 그룹핑한다. 서로 연관되어 있는 데이터를 묶어 놓는것 이것이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이다.

'생활 코딩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값으로서의 함수와 콜백  (0) 2021.08.17
유효범위  (0) 2021.08.17
배열  (0) 2021.08.16
함수  (0) 2021.08.16
반복문  (1) 2021.08.16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4   »
1 2 3 4 5
6 7 8 9 10 11 12
13 14 15 16 17 18 19
20 21 22 23 24 25 26
27 28 29 30
글 보관함